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이들 키에 대해 알아봅시다

아이들 키는 어떻게 자라게 될까?

롱다리가 뭔지 요즘은 어른부터 아이들까지 키가 크고 다리가 쭉 빠진 체형을 원합니다. 예전에는 키가 크면 싱겁다고 별로 좋게 생각하지 않았지만, 요즘은 누구나 롱다리가 되고 싶어 합니다. 또 예전에는 남자아이의 엄마들이 주로 고민을 했지만, 이제는 남자아이 여자아이 가리지 않고 키에 무척 관심을 가집니다. 심지어 아이 키가 작지도 않은데 키를 더 키우는 비법이 없냐고 묻는 엄마도 있습니다. 농담 삼아 묻는 것이긴 해도 그 속에 아이 키를 좀 더 키우고 싶어 하는 엄마의 마음이 슬쩍 비칩니다. 요즘 아이들은 자신의 키에 퍽이나 민감해 지나가는 말로라도 키가 작다는 소리를 들으면 식음을 전폐하기도 하고 몰래 소아과 의사에게 키 크는 비법을 물어보기도 합니다. 키가 작은 것이 아이들의 마음까지 움츠러들게 만들고 있습니다.

키는 유전이다?

키는 타고나기도 하지만, 크게 타고났어도 제대로 못 먹으면 자라지 않습니다. 키는 엄마 아빠로부터 각각 3분의 1을 유전받고, 나머지 3분의 1은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고 합니다, 부모가 크면 아이도 클 확률이 높고, 부모가 작으면 아이도 작을 확률이 높습니다. 아빠가 어릴 때는 작다가 나중에 키가 많이 자란 경우, 아이 역시 지금은 작아도 나중에 클 수 있습니다. 많은 엄마들이 아이 키가 작으면 고민합니다. 우리 아이보다 작은 아이들이 수두룩해도 그것은 눈에 들어오지 않고 더 큰 아이들만 보이나 봅니다. 의학적으로 키가 작다는 것은 달까지 따져서 같은 개월, 같은 성별의 아이들끼리 비교했을 때 100명 중에서 작은 쪽으로 3번째도 안될 때를 말합니다. 그리고 일 년에 4cm도 안 자랄 때 이 아이는 키 크는 데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가장 흔한 이유로는 엄마 아빠가 작은 것을 들 수 있습니다. 부모를 닮아서 키가 작은 것을 가족성 저신장이라고 합니다. 또 어릴 때는 작았지만 늦게 자라기 시작해서 나중에 크게 자라는 아이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가리켜 체질적인 성장 지연이라고 말하는데, 부모 역시 어릴 때는 작았을 수 있습니다. 물론 후천적인 원인도 있습니다. 어릴 때 제대로 먹고 자라지 못한 아이는 나중에 어른이 되어서도 키가 클 수 없습니다. 내분비 질환과 같은 만성적인 질병을 가진 아이도 잘 자라지 못합니다. 그밖에 성장 호르몬이 부족하거나 터너증후군 같은 선천적인 질병이 있어도 키가 잘 자라지 않습니다. 터너증후군이란 키가 크지 않고 사춘기 때 성적 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선천성 여성 질환으로, 2천5백 명의 1명 꼴로 나타납니다. 키는 유적적인 요인도 있지만 결국 후천적인 요인이 더 크므로 부모가 작다고 그렇게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 아이는 제대로 크고 있나?

아기가 제대로 크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비율로 자라고 있음을 확인해야 합니다. 아기가 일정한 속도로 자라고 있으면 키가 좀 작아도 일단 안심할 수 있는데, 육아수첩에 있는 발육 곡선과 비슷한 성장 패턴을 보이면 제대로 자라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예를 들어 상위 70%에 들던 아이가 한 달 만에 갑자기 평균인 50%로 되었다면 뭔가 수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예방접종 카드 중간에 있는 한국 소아의 발달 곡선은 소아과 의사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그래프입니다. 여러분도 한번 아기의 키나 몸무게를 그 그래프에 대입시켜 보십시오. 성장 호르몬 부족으로 키가 작은 아이들도 출생 시에는 정상이었지만, 1세 전후부터 키가 작은 것이 드러나기 시작해서 4~6세쯤 되면 확연히 드러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이의 키는 지속적으로 신경 써서 재야 합니다. 좀 지나면 크겠지 하며 미루다가 시기를 놓치는 경우를 간혹 보는데, 조기에 조치를 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을 때가 많습니다.

키가 작은 아이는?

아이 키가 많이 작다고 생각되면 동네 소아과 의사가 큰 병원으로 보내줍니다. 큰 병원에서는 저신장 검사를 하는데, 보통 2~3일 정도 입원하여 간기능 검사, 갑상선 기능검사, 그밖에 뼈의 연령을 검사하기 위해 뼈 사진을 찍기도 하고, 여러 가지 자극제를 투여해 자극 검사를 하기도 합니다. 성장 호르몬 치료를 받아야 하는 아이는 생리학적 검사와 유발 검사도 반드시 받아야 하는데, 이런 검사를 통해 전체적인 아이의 성장 상태를 파악한 후 성장 호르몬 사용을 결정합니다.

만일 진단 붙은 시기가 너무 늦어서 뼈의 성장이 끝난 후라면 성장 호르몬 주사로도 키를 크게 하기란 어렵습니다. 가능하면 10살이 되기 전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늦어도 남아는 13세, 여아는 12세 이전에 치료를 해야 합니다. 키를 크게 하는 성장 호르몬 주사가 도움이 되는 경우는 성장 호르몬이 결핍된 경우, 터너증후군이라는 염색체 이상의 경우, 만성 신부전증의 경우 등 세 가지 경우입니다.

키 크는 주사?

키 크는 주사는 성장 호르몬 주사를 말합니다. 이것은 유전자 공학을 이용하여 사람의 성장 호르몬을 합성한 것으로, 성장 호르몬이 부족하여 키가 안 크는 아이에게 주사하면 놀라운 효과를 보입니다. 하지만 다른 이유로 키가 잘 안 클 때는 이 주사를 맞아도 효과가 거의 없습니다. 

또래 아이 100명 중에서 적은 쪽으로 세 번째 이내인 아이들 10명 가운데 1명 정도가 성장 호르몬 부족 때문에 키가 작다고 보면 됩니다. 바로 이런 아이들이 성장 호르몬으로 치료를 받으면 효과를 봅니다. 성장 호르몬 주사에 대해 필요 이상의 기대를 갖고 소아과를 찾아왔다가 실망해서 돌아가는 분들이 간혹 있습니다. 이 주사는 성장 호르몬이 부족해서 키가 안 크는 아이에게만 효과가 큽니다. 성장 호르몬 주사는 10살 이전에 맞기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적어도 2~3년을 맞아야 하며 최소한 6개월은 맞아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계속 맞는다고 키가 계속 크는 것이 아니라 골단이 융합되는 시기인 여자 14~15세, 남자 16~17세까지만 효과가 있습니다. 뼈의 성장판이 닫히고 나면 성장 호르몬이 부족한 것을 뻔히 알면서도 성장 호르몬 치료를 할 수가 없습니다. 또 하나의 문제는 이 주사가 비싸다는 것입니다. 몸무게와 연령에 따라 주사량과 기간이 달라지는데, 1년간 보통 천만 원 남짓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보통 가정에서는 만만치가 않습니다. 터너증후군이나 만성신장 질환으로 판명되면 치료비의 일부가 의료보험으로 충당되기는 하지만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

이런 의료적인 방법보다는 잘 먹고, 잘 자고, 적당한 운동을 하는 것이 아이들 키를 크게 하는 최선의 방법임은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