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먹이기
모유를 제대로 먹이려면 2개월부터 수면 교육을 시작하고, 6개월부터 고기를 포함한 이유식을 제대로 먹이고 8개월부터는 버릇을 제대로 들여야 합니다. 모유 먹여 키운 아이는 아이큐가 5~10은 더 좋아집니다. 나중에 집 팔고 땅 팔아도 이만큼 머리가 좋아지게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니 되도록 모유를 먹이도록 합시다.
모유가 최고
모유는 아기에게 최고의 음식이며 엄마가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입니다. 모유를 먹여 키운 아기는 머리도 좋아지고 건강하게 자라며 질병에도 잘 걸리지 않습니다. 모유 먹이는 엄마도 덕을 보는데, 출산 후 출혈도 적어지고 회복도 빨라지고 빨리 날씬해집니다. 난소암과 폐경기 전 유방암이 적게 걸리고 나이 들어서 골다공증도 적게 걸립니다.
모유는 적어도 돌까지는 먹여야 하고, 돌이 지나서도 엄마와 아기가 원하면 얼마든지 먹여도 좋습니다. 모유의 장점은 두 돌이 지나서도 지속되며 세 돌이 지나서도 모유를 계속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6개월 동안은 모유만을 먹이고 적어도 24개월까지는 모유를 계속 먹이라고 권장합니다. 모유가 아기에게 최고의 음식임은 틀림없지만, 만 6개월이 되면 철분과 아연 등 아기의 성정과 발달에 필수적인 영양분의 공급을 위해서 고기 같은 음식을 포함한 이유식을 시작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유식이 늘면서 모유는 서서히 먹는 양이 줄게 됩니다. 모유는 그 장점이 먹일 때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평생의 건강과 지능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모유는 오래 먹일수록 그리고 많이 먹일수록 장점이 점점 더 많아지는데, 특히 돌 전에 모유를 많이 먹이면 머리도 좋아지고, 시력도 좋아지고, 학업성적도 좋아집니다.
모유 수유 장점
모유는 아기를 키우기 위해서 신이 내린 선물입니다. 모유는 아기를 키우는 데 필요한 최고 품질의 영양이 풍부하게 들어 있습니다. 특히 모유에는 엄마 뱃속에서는 받을 수 없었던 면역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병에 저항력이 강한 아이로 키울 수 있습니다. 간혹 분유가 모유만큼 좋다고 믿는 분도 있으신데 모유는 모유고 분유는 분유일 뿐입니다. 분유는 모유의 껍질만 흉내 낼뿐이지 모유가 될 수 없습니다. 호박에 줄 긋는다고 수박이 될 수는 없습니다.
머리가 좋아진다 : 모유를 먹인 아기는 지능도 높고 인지 발달이 빠르고 학업성취도도 더 좋습니다.
감염성 질환에 적게 걸린다 : 모유를 먹인 아기는 분유를 먹여 키운 아기에 비해서 장염(3배), 중이염(3배), 뇌막염(3.8배), 요로감염(2.5~5.5배), 폐렴 및 하기도 감염(1.7~5배)에 적게 걸립니다.
알레르기가 적게 생긴다 : 아토피성 피부염 및 천식(2~7배)이 적게 생깁니다.
기타 : 1형 당뇨(2.4배)와 영아돌연사(2배) 등이 적게 생깁니다.
산후 회복이 빠르고 합병증이 적다 : 젖을 빨면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어서 자궁 수축이 촉진되기 때문에 출생 후 출혈도 줄일 수 있습니다.
날씬해진다 : 모유 수유를 하면 임신하기 전의 몸무게로 더 빨리 돌아갈 수 있습니다.
엄마도 건강해진다 : 나중에 골다공증도 적게 생기고 난소암과 폐경 전 유방암도 적게 걸립니다.
정신적으로도 좋다 : 자신감이 생기도 아기에 대한 사랑이 커집니다.
모유 수유를 위한 국가적인 투자는 우리 민족의 장래에 큰 이들이 되는데 그 비용을 아끼려 하는 것이 참 안타깝습니다. 모유 수유하는 비율을 높이고 모유 수유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소아과 의사와 모유 수유전문가들의 제대로 된 상담이 필수적입니다.
신생아 모유 먹이기
모유먹이기에 성공하려면 어마와 아기가 같은 방을 사용하면서 아기가 먹고 싶어 할 때마다 먹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아기를 분만하고 처음 3일 동안은 소량의 초유가 나오는데, 적게 나와도 아기가 그 나이에 먹고살기에 충분한 양입니다. 대부분의 만삭아는 제대로 자주 젖을 빠는 것만으로도 필요한 만큼의 수분과 영양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적게 나온다고 분유나 설탕물을 먹이거나 다른 음식을 먹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모유 외에 다른 것을 먹게 되면 모유 수유에 실패할 가능성이 더 많아집니다. 아기가 태어난 후 가능하면 30분~1시간 이내에 젖을 빨리는 것이 좋습니다. 만일 아기가 처음부터 모유를 빨 수 없는 상황이라면 회복기간 동안 엄마와 같이 지내게 해줘야 합니다. 아기가 젖을 빨면 모유 생산이 서서히 증가하며 자궁을 수축시켜 출산 후에 출혈을 막아줍니다. 모유는 24시간 동안에 8~12번을 먹여야 합니다. 이보다 적게 먹이면 모유가 잘 만들어지지 않아서 모유만으로 수유하기 힘들어집니다. 자고 있다면 깨워서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시간 맞춰 먹일 필요는 없습니다. 아기가 배고파하면 먹여야 합니다. 먹지 않고 계속 자는 신생아는 먹은 지 3~4시간이 지나면 깨워서라도 먹이는 것이 좋은데, 낮에는 2~3시간이 되면 깨워서 먹이고 밤에는 4시간 정도 안 먹고 자는 경우 깨워서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밤에 한 번 정도는 5시간 내리 자도 깨우지 않고 그냥 둘 수 있습니다.
아기가 배고파하면 먹여야 합니다. 신생의 경우 특정시간대에는 한꺼번에 몰아서 매시간 먹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시간을 맞춰 먹이려는 시도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가능하면 아기가 먹고 싶어 하면 바로바로 빨리는 것이 좋은데, 배고픈 아기는 똘똘해지고 움직임이 증가하고 입맛을 다시고 젖을 찾으려 하고 젖꼭지 앞에서 먹으려고 입을 크게 벌리기도 합니다. 아기가 울 때까지 기다리지 마십시오, 잘 관찰해서 배고파 울기 전에 아기에게 젖을 먹일 수 있어야 합니다. 배고파할 때 먹이려면 엄마와 아기가 같은 방에서 자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번 수유 시에 양쪽 젖을 다 먹입니다. 한쪽을 10~15분 정도 충분히 빨리고 반대편 젖을 또 물려 10~15분 정도 먹입니다. 이번에 두 번째 물렸던 젖은 다음번에 먼저 물려야 합니다. 두 번째 젖을 빨면서 아기는 잠들 수 있습니다. 충분히 빨립니다. 모유는 한번 수유 시에 10~15분간 수유를 하여 한쪽 젖을 완전히 비우고 아기가 더 먹고 싶어 하면 다른 쪽도 10~15분간 더 빨리십시오. 하지만 모유가 잘 나오지 않는 신생아 초기에는 1시간 이상 젖을 먹는 아기도 있고 조금씩 자주 먹는 아기도 있습니다. 그게 정상입니다. 하지만 젖이 잘 돌게 된 이후에도 계속 50분 이상 아기가 젖을 먹으려 한다면 제대로 먹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쯤 먹다가 졸려서 자면 트림을 시키거나 기저귀를 갈아주거나 가벼운 마사지를 해주는 등 아기를 깨워서라도 계속 먹여 한쪽 젖을 충분히 먹여야 합니다. 만일 충분히 먹이지 않아 유방에 여분의 젖이 남게 되면 울혈이 생겨 불편할 수 있고, 유방을 완전히 비우지 않으면 모유의 양이 줄 수 있습니다.